강화군, '과수 탄저병' 피해 최소화 및 집중 방제 당부
상태바
강화군, '과수 탄저병' 피해 최소화 및 집중 방제 당부
  • 박주영 기자
  • 승인 2024.06.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 오기 전 보호살균제 처리, 비 온 후 침투이행성 약제로 방제

[뉴스피크] 강화군은 사과, 배, 감나무 등에 피해가 큰 과수 탄저병 피해 최소화를 위해 철저한 예방과 집중 방제를 당부했다.

탄저병은 6~7월 사과, 배 등 주요 과수에 발생하는 병해로 25~30℃의 고온과 80% 이상의 높은 상대습도에서 활발하게 발생한다.

탄저병의 1차 전염원은 지난해 병든 과실 및 가지, 낙엽 등이며 대부분 여름철 관수 시의 물방울이나 빗물에 의해 전파된다.

병원균에 감염된 과일은 환경조건에 따라 4~10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2차 전염원인 분생포자의 형성과 함께 병징이 나타난다.

탄저병에 감염되면 과실 표면에 갈색 반점이 생기고 이 반점이 점차 커지면서 병반부가 함몰된다.

피해를 입은 과실은 상품성을 잃어 과실 생산량 감소로 이어진다.

탄저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감염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6~7월 철저한 사전 예방 및 집중 방제로 병원균의 확산을 저지해야 한다.

감염된 과일이나 가지들이 없는지 수시로 예찰해 발견 즉시 과수원 밖으로 제거하고 과수원 내 수관 정리와 배수 등을 해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약제 방제를 위해 비가 오기 전 보호살균제를 처리하고 비가 오고 난 후에는 침투이행성 약제로 방제한다.

강우량이 많고 연속적으로 강우가 발생할 시에는 정기 방제를 했더라도 강우 사이 또는 전·후에 추가 방제를 해주는 것이 좋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올해 여름철은 평균기온이 높고 잦은 강우가 예상돼 탄저병 피해가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주기적인 예찰과 적기에 집중 방제를 하는 등 세심하게 과수원을 관리할 것”을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